우리나라 성인의 50% 정도가 분노조절 어려움을 한 번 이상 경험해
【사례】 세 살짜리 조카를 화장실에서 폭행하고 학대해 숨지게 한 20대 이모, 10대 여자 친구의 이별 통보에 화가 나 여자 친구와 그 친구를 숨지게 한 30대 남성, 아파트 층간소음 때문에 발생한 살인사건, 자동차 보복운전, 사회지도층의 땅콩회항 사건, 백화점 모녀 사건, 어린이집 유아폭행 사건, 엘리베이터 묻지마 폭행사건 등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커다란 물의를 일으켰던 사건들의 중심에는 ‘분노조절장애’가 깔려있다.
분노조절장애란?
일반적으로 분노조절장애 혹은 분노충동조절장애라고 부르는 이 질병을 의학계에서는 충동조절장애라고도 이야기하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분노조절장애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09년 3천720명에서 2013년에는 4천934명까지 늘어나, 5년 사이 약 32.6%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. 사회 양극화와 생존경쟁이 치열해지며 분노조절장애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우리나라 성인의 50% 정도가 분노조절 어려움을 한 번 이상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. 분노조절장애의 증상으로는 단지 화를 참지 못하는 것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상대에 대한 무차별적인 언어폭력이나 적대 행동도 증상 중 하나이며, 폭력 행동이나 파괴적 행동, 방화, 도둑질도 이에 속한다.
분노조절장애의 원인
분노조절장애는 스트레스 상황에 장기간 노출되거나 가슴 속에 화가 과도하게 쌓여있으면, 이것이 잠재돼 있다가 나중에 감정을 자극하는 상황이 올 때 폭발하는 특징을 보이는데, 성장과정에서 정신적 외상을 경험한 경우 분노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, 분노조절장애는 공통적으로 유전적, 생물학적, 환경적, 사회심리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.
정신과적 분노조절 장애의 종류
- 간헐적 폭발장애
- 언어적 공격이나 상해를 입히지 않는 신체 공격이 3개월간 1주일에 2회 이상 발생하거나 폭발적 행동이 12개월간 3회 보이는 경우. 6세 이상
- 양극성 장애
- 비정상적으로 들뜨거나 과민한 기분이 1주일간 거의 매일 지속. 목표를 이루기 위한 행동이 방해받으면 분노로 이어짐
- 경계성 성격장애
- 실제 또는 상상 속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미친 듯이 노력함. 현저한 기분 반응으로 불안이 수시간~수일 반복. 분노 대상은 주로 애인이나 배우자
- 적대적 반항장애
- 분노와 과민한 기분, 보복이 6개월 이상 지속. 형제나 자매가 아닌 한 명 이상 다른 사람에게 자주 분노하고 반항적 행동을 함
-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
- 폭언이나 공격 행위가 자극에 비해 강도와 지속 시간이 극도로 비정상적. 분노발작이 1주일에 3회 이상. 대부분 시간동안 화가 나 있는 상황
분노조절장애 치료방법
분노조절장애의 치료에는 충동지연 행동기법, 분노조절훈련, 명상, 인지행동치료 등이 도움이 되며 공격성이나 충동성을 완화시키는 약물이나 항우울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. 최근에는 세로토닌과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을 안정시키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.
"분노조절장애" 자가진단 체크 리스트 | 예 | 아니오 |
---|---|---|
1. 성격이 급하고 쉽게 화를 내며 금방 화를 낸다. | ||
2. 온라인상의 게임, 가상현실 속에서도 내 맘대로 되지 않아 화가 난 적이 여러 번 있다. | ||
3. 분노를 조절하기 어렵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. | ||
4. 잘한 일은 칭찬받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화가 난다. | ||
5. 다른 사람의 잘못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하며 이로 인해 말썽이 생긴다. | ||
6. 화가 나면 타인에게 폭언, 폭력을 가한다. | ||
7. 분노가 극에 달해 운 적이 있다. | ||
8. 잘못에 대한 책임을 타인에게 돌려 탓한 적이 있다. | ||
9. 화가 나면 물건을 집어던진다. | ||
10. 다른 사람이 나를 무시한다고 느끼고 억울한 감정이 자주 든다. | ||
11. 화를 조절하지 못해 일을 망친 적이 있다. | ||
12. 일이 안 풀리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쉽게 조절하고 포기하는 편이다. |
전문적인 상담을 통해 분노조절을 개선해 보시기 바랍니다.
다만 온라인 자가진단검사는 간이검사이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.